KICI

가정에서 부모가 실시한 언어 촉진이 영아의 언어 발달에 미치는 영향

2022년 10월 발간된 본 연구에서
연구자들은 가정에서 부모가 실시하는 언어적 촉진이 영아의 언어발달에 긍정적이고 효과적인 영향을 준다고 보고하고 있습니다.

이는 가정에서 부모가 실시한 언어 개입이 출생부터 6세 까지 아동의 언어발달을 개선하는 데 효과적이라는 이전 연구들(Heidlage et al., 2020 ; Kong & Carta, 2013 ; Roberts & Kaiser, 2011 )을 뒷받침하는 것입니다. 아래에서 가정에서 부모가 아동의 언어를 촉진하기 위한 전략이 무엇인지 알아보겠습니다.

2018년 가을부터 2019년 봄에 걸쳐 18-30개월 사이의 아동과 그들의 부모를 대상으로 30주 동안 연구를 실시하였다.
조기개입 전문가가 매주 1시간 또는 격주로 가정방문하여 부모에게 아동의 언어를 촉진할 전략(PC TALK)을 기반으로 일상생활에서 부모가 사용하도록 알려주었다.

부모는 일주일 동안 그 전략을 사용했고, 전문가는 방문할 때마다 부모에게 피드백을 제공하였다. 그 결과, 부모가 가정에서 실시한 언어 촉진은 매우 효과적이었다

가정에서 부모가 아동에게 언어 촉진을 하기 위한 전략; PC TALK

이 전략은 캔자스대학의 연구원들이 개발한 언어 촉진 방법 모형이다.

(1) 환경 구성하기

아이들이 하루 동안 더 자주 의사소통할 수 있는 기회를 촉진하기 위해 가정의 물리적인 환경을 수정하여 구성한다.

(2) 아동의 주도에 따르기

아이가 무엇에 관심이 있는지 관찰하고, 알아차리고, 함께 놀이하고, 이야기해야 한다.

(3) 아이의 행동 읽어주기

아이가 행동하는 것을 읽듯이 이야기 해준다.

(4) 개방형 질문하기

아이들이 단순히 "네/아니요"로 대답하거나 고개를 끄덕이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방식으로 응답하도록 질문을 한다.

(5) 격려하고, 긍정적으로 반응하기

아이의 행동과 의사소통, 또는 상호작용 시도에 격려하고, 아이의 행동에 관심을 갖고 함께 참여하며 긍정적으로 반응하는 것을 의미한다.

(6) 선택권 제공하기

먼저, 아이가 하나의 활동 또는 놀잇감을 선택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야 한다. 선택권을 제공하는 것은 아이가 선호하는 장난감이나 활동을 선택하기 위해 의사소통해야 됨을 의미한다.

(7) 시간지연(기다려주기); 빈칸 채우기

시간지연은 아이가 이전에 잘 알고 있거나 친숙한 단어 또는 발성으로 문장이나 노래를 채울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동요 작은 별을 좋아하는 아이에게 부모가 "반짝 반짝 작은~" 을 부르고, 아이가 "별"을 말할 수 있도록 기다려주는 것이다.
[참고문헌]
Pentimonti, J., Attaway, D. S., Little, M. H., Holod, A., Buysse, V., Walker, D., Bigelow, K. (2022). Impacts of a parent-implemented language intervention on children's language development within home visiting. Infants & Young Children, 35(4), 285-302.

가정에서 부모가 실시한 언어 촉진이 영아의 언어 발달에 미치는 영향 더 읽기"

종이컵 성 쌓기

종이컵을 쌓아 성처럼 만든 뒤 미니카로 부웅~ 통과하며 성을 와르르 무너뜨려 봐요.

준비물

종이컵, 자동차 장난감, 공, 마스킹테이프(또는 시작 선을 표시해 줄 수 있는 다른 도구도 가능)

사전 준비

종이컵이 무너지면서 굴러갈 수 있도록 충분한 공간을 확보하고, 종이컵을 쌓는 곳, 시작 선을 적당한 거리를 두어 활동을 시작합니다.

감각통합에 도움이 됩니다.

종이컵을 쌓는 과정에서 힘 조절, 소근육 발달이 증진될 수 있으며 소근육 및 눈손협응 능력과 양손협응 능력이 향상됩니다. 자동차 장난감을 사용하여 무너뜨리며 눈 손 협응과 간단한 인과관계를 습득할 수 있습니다. 쌓기, 공을 던져 맞추기 활동을 하며 힘조절을 하면서 고유수용감각 발달과 거리감각 발달에도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종이컵을 쌓을 때 넘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 집중력 증진됩니다. 높이 쌓을수록 신체 움직임이 커져 근육 조절, 운동조절이 증진됩니다. 색깔을 구별하고 분류하며 색깔 명칭을 듣고 따라 말하면서 색인지를 유도할 수 있습니다. 컵과 컵 사이에 컵을 올려놓거나 공간을 나누어 나열하면서 시 지각 경험을 유도할 수 있습니다.

활동 순서

놀이 TIP

- 종이컵을 활용하여 다양한 모양을 만들어 봅니다. (예: 다리, 울타리 등)
- 종이컵을 더 높게 높게 쌓아보면서 다양한 자세에서 종이컵을 쌓을 수 있도록 합니다.
- 종이컵을 다양한 방향으로 여러 개 쌓아 다양한 방향으로 공을 던지면서 방향에 대한 학습으로도 변환할 수 있습니다.
- 거리를 점점 멀리 두어 다양한 거리에서 던져봅니다.
- 더 많은 종이컵을 이용하여 바닥에 누운 자세 등의 경계를 종이컵을 세워 알아봅니다.
- 가정에서 쉽게 사용하고 있는 일회용 종이컵을 사용하여 다양하게 쌓아보거나 나열하여 공간을 구별하고 영역별 놀이를 해 봅니다.
- 쌓는 것을 어려워하거나 관심을 보이지 않는 경우 아동을 앉히거나 눕혀놓고 테두리를 따라 나열하면서 아동의 모습을 그려봅니다.
- 종이컵과 컵 사이에 실을 연결하여 전화 놀이를 하거나 종이컵과 끝은 연결하여 꼬리잡기 놀이 등 신체놀이를 연결하여 진행해 봅니다.
- 미리 종이컵에 색깔을 칠하거나 숫자를 붙인 후 여기저기 흩어진 종이컵을 색깔별로 분류하거나 숫자 순서대로 찾아가며 정리해도 좋습니다.
- 종이컵으로 길을 만들어 대각선, 꼬불꼬불 한 길을 만들어 지나갈 수 있도록 할 수 있습니다.
- 형제의 손을 잡고 천천히 걸어가기를 연습 할 수 있고, 누가 먼저 도착 할 수 있는지 게임을 할 수 있습니다.

종이컵 성 쌓기 더 읽기"

발달장애 위험군 영유아 영양-자폐스펙트럼장애 중심

남용현 (재활의학과 전문의)

발달장애 위험군
영유아 영양 이대로 괜찮을까?
-자폐스펙트럼 장애를 중심으로-

뇌 발달 문제의 증가

자폐스펙트럼 장애의 유병율은 거의 유행병 수준으로 높아져 현재는 49명중 한 명으로 가늠될 정도이다. 혹자는 진단기준의 변화나 조기 민감한 진단을 그 근거로 들고 있으나 납득하기 어렵다. 또한 자폐 스펙트럼 이외에도 뇌 발달의 스펙트럼안의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 난독증, 실행 장애증뿐 아니라 강박, 우울등도 증가하고 있고 성인의 자가면역 질환, 당뇨병을 비롯한 만성질환 및 알쯔하이머, 파킨슨 병 같은 퇴행성 뇌질환의 유병율 상승과도 무엇인가 관계가 있을 것이다.

산업화로 인한 먹거리 안전 문제

산업화가 우리에게 미친 밀접한 큰 변화중 하나는 식량생산을 높이기 위한 농약 사용의 증가와 자연적으로 먹어왔던 음식들의 산업화로 장기적으로 보관 유통을 위한 살균처리와 여러 인공적 첨가물의 사용이다. 또한 환경오염때문에 바다도 오염되어 바다의 먹거리는 위협을 받고 있다. 이미 농약을 많이 뿌린 땅 자체에는 식물이 사용할 수 있는 미네랄등이 부족해 수확하더라도 이전의 식물들이 가진 영양에 한참 못미친다. 또 이것들은 우리 장내세균총의 구성에 큰 영향을 미친다.

먹거리 안전 문제가 아기에게 미치는 영향

아기는 태내에서 엄마의 영양상태에 전적으로 의지하는데 모체의 건강도 위와 같은 영향아래 있어 건강한 임신과 출산이 점점 어려워지고 있다. 오래전이지만 EBS 다큐에서도 별다른 건강이상이 없는 엄마라 하더라도 그 모유속에는 갖가지 농약 성분, 세정제 성분, 수은과 같은 중금속등이 검출된 것을 실제로 보여주어 충격을 준 바 있다.

영양과 뇌 발달

일반적으로 뇌발달기의 아주 중요한 시기는 우선 0-3세인데 뇌의 60%정도가 지방으로 구성되어 있고 모유의 구성성분도 지방이 55%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것은 우연이 아니라고 생각한다. 뇌세포 포함 모든 세포막의 유동성과 건강을 위해서는 좋은 지방이 많이 필요하다. 세포막이 건강해야 신호전달 및 대사산물의 원활한 배출, 필요한 에너지 생성등을 잘 할 수 있다. 이 시기에 뇌에 충분한 좋은 지방을 포함한 적절한 영양이 공급되지 않으면 뇌세포의 성장 및 기능의 적정한 발달을 기대할 수 없다.

아기의 뇌발달에 좋지 않은 영향을 주는 음식을 주지 않기

일반적 권고에 따르자면 아기들은 보통 이가 나기 전부터도 이유식을 시작하라고 한다.
그러나 발달장애의 위협이 있는 아기들은 달리 생각해보아야 한다.
만 2세까지의 아기의 장은 성인만큼 건강한 상태가 아니고 장벽이 느슨한 생리적 장누수 상태라고 본다. 그러므로 오히려 이 시기 소화기계 기능이 성숙되기 전 이것저것 이유식을 많이 주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생각된다. 더군다나 이른 시기부터 장세포를 자극하는 글루텐 성분이 많은 밀가루 음식에 일찍 노출시키는 것 또한 지양해야 한다. 이유식 단계가 끝나면 아기들에게 세끼 식사 이외에 간식을 주게 되는데 보통 가공된 탄수화물 음식이나 과즙 음료 등 당이 첨가된 것이 많으며 이는 뇌발달시기에 좋지 않은 영향을 준다.

자폐 아동들의 소화기계 문제를 일으키기 때문에 주면 안되는 것들

자폐아동들은 보통 소화기계의 문제가 많다. GAPS(Gut and Psychology Syndrome)식단으로 유명한 나타샤 켐벨은 자신의 오랜 임상에서 소화기계 문제를 가지고 있지 않은 자폐아는 본적이 없다고 말하고 있다. 이들은 영아기때 역류성 구토, 변비나 설사 소화안된 변, 복부팽만 등의 기왕력 또는 현재 증상을 가지고 있으므로 장내 세균총의 이상변화가 근저에 있음을 알 수 있다. 발달장애 위협 영유아들이 최소한으로 먹지 말아야 할 것들은 무엇인가? 자폐에서 동반되는 대사문제를 치료해온 서구의 의사들, 자연치유요법 의사 혹은 영양 전문가들은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이 권고하고 있다.
전문가들이 권고하는 식단마다 디테일 한 면에서는 다소 다른 관점들을 보이지만 어떤 식단에서도 뇌발달에 해로운 아래 7가지 정도는 즉시 아이의 식단에서 빼야 한다. 그리고 곡류 중심의 식단보다는 유기농에서 얻을 수 있는 좋은 지방과 적절한 단백질로 구성된 전래 음식을 먹이는 것이 꼭 필요하다.
1. 글루텐
2. 유제품(살균제품)
3. 가공된 탄수화물 음식
4. 설탕
5. 색소등 첨가물
6. MSG
7. 아스파탐 등

참고 도서

1. Gut and Psycholgy syndrome by Natasha Campbell McBride, MD
2. Naturally Recovering Autism by Karen Thomas
3. 자폐증 회복; 생의학적 치료의 부모 매뉴얼
4. 에코사이드 by Marie Monique Robin

발달장애 위험군 영유아 영양-자폐스펙트럼장애 중심 더 읽기"

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