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CI

영유아 발달에서 건강한 장내 미생물 생태계의 중요성-자폐스펙트럼장애 중심

남용현 (재활의학과 전문의)

건강한 장내 미생물 생태계는 평화로이 공존하고 있고 몸에 유익한 환경을 조성해주지만, 상황이 바뀔 때는 장과 멀리 떨어진 장기에서도 문제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뇌와 장내 미생물 생태계(gut flora, gut microbiota)가 연결되어 있다는 것은 장 문제가 해결되어 정신적 문제가 치유되는 사례들로 미루어 알 수 있다. 지난 20여년동안 이러한 개념을 장-뇌축(gut-brain axis)으로 설명하며 뒷받침하는 연구들은 쏟아져 나오고 있다. 영유아들이 흔히 겪고 있는 소화기계 문제와 알러지, 아토피, 천식 같은 면역 질환부터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 증후군, 실행장애, 발달성 협응 장애, 심지어 자폐증같은 뇌발달기의 심한 문제와도 연관이 있다고 본다. 장에는 체세포수 보다도 많은 미생물들(약 38조)이 있고 유전자 수도 훨씬 많아 우리는 장내 미생물 생태계와 공존하지 않을 수 없다. 장내 미생물 생태계에는 박테리아뿐 아니라 바이러스 , 곰팡이, 원충동물등 다양하다. 이들은 건강할 때는 평화로이 공존하고 있고 몸에 유익한 환경을 조성해준다. 그러나 상황이 바뀔 때는 균형이 변하여 우리가 처리하지 못할 정도의 독소를 생산하여 느슨해진 장벽사이로 침투하여 혈류로 들어가 장과 멀리 떨어진 장기에서도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그러면 이들은 우리에게 어떤 존재들일까?

1. 침입자와 독소로부터 우리를 보호한다.

장세포는 점액질로 덮여있고 그위에 수많은 미생물들이 군집을 이루고 있는데 서로를 견제하는 항균성, 항바이러스성 물질들을 분비한다. 섭취하는 음식을 통한 독소나 미생물도 방어하고 어느 균종이 과증식하지 못하도록 방지한다. 또 환경오염 물질도 이러한 박테리아들이 처리한다. 중금속을 킬레이트하여 배출될 때까지 붙잡고 있는 역할도 한다. 투약에 대한 반응이 다른 이유도 장내 미생물 생태계의 차이에서 올 수 있다.

2. 적절한 소화와 흡수를 돕는다.

장세포는 손상되었다 하더라도 장내세균총의 기능에 따라 빠르게 재생되어 소화된 영양분을 흡수한다. 장내 미생물들은 소화기계의 골키퍼 역할이다. 이것들이 손상을 입으면 경미한 환경변화도 건강에 영향을 준다. 음식의 구성성분을 분해하는 산, 효소, 기타 물질들을 분비하여 적절한 소화흡수를 돕는다. 어떤 영양보충제도 이러한 역할을 대신할 수 없다.

3. 비타민과 호르몬을 만들어낸다.

비타민 B군, K2, 다양한 아미노산등을 신체의 요구량에 따라 장내 미생물들이 만들어낸다. 예를 들어 비타민 K2가 없으면 칼슘이 뼈로 들어가지 못해 골다공증과 치아부식이 생기기 쉽다. 또 B12 생산이 부족하면 메틸레이션 회로에 문제가 생겨 세포기능에 문제가 생긴다. 이 생태계는 호르몬 40여종을 만들고 그 대사에도 관여한다.

4. 신경전달물질을 만든다.

신경전달물질은 신경세포의 신호전달 기능을 한다. 정서, 수면, 일상생활 유지의 동기조절에 많은 영향을 주는 세로토닌의 95%, 도파민의 50%는 장에서 만들어진다. 또 신경의 적절한 억제기능으로서의 감마 아미노 부티르산(GABA)도 만든다. 그러므로 장은 제2의 뇌라고 할 수 있다.
발달기 영유아 문제중 가장 사회성의 문제가 심각하고 감각문제가 두드러진 자폐스펙트럼 장애아들의 80-90%는 소화기계 문제를 가지고 있으며 식단을 비롯한 여러 생의학적 접근으로 장내세균총의 균형과 다양성이 좋아지면 우선 눈맞춤, 수면의 질이 좋아진다고 많은 부모들이 이야기하고 있다. 우리나라 의학계에선 아직 식이조절의 효과에 눈감고 있지만 자폐의 생의학 치료 역사가 50여년 이상된 미국에서는 이제 글루텐 프리와 카제인 프리는 기본으로 더 나아가 다양하게 식이요법을 하고 있다. 우리가 매일 먹는 음식이 곧 장내 미생물의 먹이가 되는 것은 상식적이다. 장내세균총의 균형을 깨트리는 음식을 먹지 않고 그러한 환경을 조성하지 않는 것이 우선 우리가 내딛어야 할 첫 걸음이다.

참고 도서

1. Natasha Campbell(2006). Gut and Psycholgy syndrome: Natural Treatment for Autism, Dyspraxia, A.D.D., Dyslexia, A.D.H.D., Depression, Schizophrenia.
2. 김혜성(2019). 미생물과 공존하는 나는 통생명체다: 내 안의 우주.
3. Alanna Collen(2016). 10% Human: How your body's microbes hold the key to health and happiness.

영유아 발달에서 건강한 장내 미생물 생태계의 중요성-자폐스펙트럼장애 중심 더 읽기"

자연에서 보내는 시간이 영유아기 발달에 미치는 영향

이후민 (특수교사)

최근 캐나다의 브리티시 컬럼비아 대학교(UBC)의 연구에 따르면,
녹지 공간에 대한 노출이 높은 지역에 거주하는 영유아의 발달이 그렇지 않은 지역의 아이들보다 전반적으로 더 나은 발달을 보였다고 합니다.

2005년에서 2011년 사이에 벤쿠버 지역에 있는 유치원에 다녔던 영유아 27,372명의 발달 점수를 기반으로 자연이 영유아의 전반적인 발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한 연구가 있습니다.
이 연구에 의하면, 자연에서 보내는 시간이 더 많았던 아이들의 발달이 좋았던 이유가 대기 오염과 소음의 유해한 영향을 줄이는 녹지 공간의 능력이 한 몫을 했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더불어 환경 문제는 스트레스 증가, 수면 장애 및 중추 신경계 손상 등을 통해 영유아의 건강과 발달에 악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연구자들은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지만,
본 연구를 통해 주거지역과 학교 주변의 녹지 공간을 늘리기 위한 도시 계획을 할 것이라고 시사했습니다.

사계절이 주는 자연 속 다양한 놀잇감을 찾아보세요!

자연에서 보내는 시간은 모든 사람에게 유익할 수 있지만, 아이들이 좋은 출발을 하기 원한다면 자연과의 접촉을 통해 풍요로운 환경을 제공할 필요가 있습니다. 또한 아주 어린 영아기부터 자연에 노출이 많이 된 경우, 사회정서적으로 안정적인 발달을 하는 데 큰 도움이 되기도 합니다.
걸음마를 하기 시작한 아이가 공원에 간다면, 다양한 지면에서 걸어보는 경험을 할 수 있습니다. 그러한 경험을 통해 대근육 발달이 촉진될 수 있고, 숲에서 만나는 다양한 동식물과 다양한 냄새, 촉감 등을 통해 집이나 기관에서는 접할 수 없는 감각적, 인지적, 정서적인 경험을 할 수 있습니다. 정형화된 놀잇감이 아닌, 자연 속에서 만나는 놀잇감을 통해 가족 또는 또래와 새로운 상호작용을 할 수도 있습니다.
우리나라는 사계절을 가진 만큼 숲이나 공원에서 아이들이 경험할 수 있는 것도 다양하고 많습니다. 같은 공원이라도 늘 다른 경험을 할 수 있답니다. 날씨가 추우면 그만큼 옷을 단단히 입고, 날씨가 더우면 시원하게 입고 자연 속으로 들어가 보면 어떨까요?
아이가 자연과 친해지는 모습의 변화를 관찰해 보세요.

[참고문헌]

Lou Corpuz-Bosshart. (2021, October 21). Spending time in nature promotes early childhood development.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https://news.ubc.ca/2021/10/21/spending-time-in-nature-promotes-early-childhood-development/#contact-box

자연에서 보내는 시간이 영유아기 발달에 미치는 영향 더 읽기"

가정에서 어머니가 실행하는 일과중심중재가 발달지체 영아의 놀이참여와 발달목표 성취에 미치는 영향

초록 : 본 연구는 발달지체 영아에게 가정에서 일과중심중재를 실시했을 때 발달의 기초가 되는 놀이 참여율과 참여수준별 놀이 발생률 및 발달목표 성취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이를 위하여 6회기의 어머니 교육을 실시하였고, 어머니가 지속적으로 일과중심중재를 실행할 수 있도록 10회기 이상의 피드백을 제공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14~24개월 발달지체 영아와 어머니 4쌍이었으며, 대상자 간 중다간헐기초선 설계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어머니 교육과 피드백을 통해 발달지체 영아의 어머니가 학습한 일과중심중재 방법을 가정에서의 자연스러운 일과 중에 영아에게 적용했을 때 영아의 놀이 참여율이 증가하였고, 참여수준별 놀이 발생률이 보다 상위수준으로 변화하였으며, 참여율 증가와 참여수준의 변화는 일반화 및 유지되었다. 또한 영아는 목표성취척도(GAS)를 활용하여 척도화한 발달목표에서 기대 수준으로 또는 그 이상의 향상을 보였다. 즉, 어머니 교육과 피드백을 통해 어머니가 직접 기능적 목표를 수립하고 일과 중에 학습 기회를 삽입하여 즉각적으로 영아에게 적합한 중재를 반복해서 실행함으로써 영아의 참여와 발달에 긍정적인 결과를 이끌어낼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가정에서 어머니가 중재를 실행한 조기개입으로, 24개월 이하의 발달지체 영아와 그 어머니를 대상으로 실제 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는 가정방문 절차와 방법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학문적 및 현장실천적인 의의가 크다고 할 수 있다.

가정에서 어머니가 실행하는 일과중심중재가 발달지체 영아의 놀이참여와 발달목표 성취에 미치는 영향 더 읽기"

장애아동 및 가족 관련 지원법

발달의 어려움을 지니고 있는 자녀를 양육하는 가정은 일반적으로 많은 어려움을 만나게 됩니다. 

조기개입이 중요하지만,  아이의 발달 문제를 발견하고 좋은 서비스를 찾는 것이 가족의 노력만으로는 어려울 때가 많습니다. 

국가 차원에서 영아와 가족들을 위한 최선의 서비스 체계를 마련할 필요가 그 어느 때보다 커지고 있습니다. 

앞으로 조기개입 전문가교육 기본과정 교육자료로 사용된 장애인개발원의 강지현 팀장의 원고를 바탕으로 현재 우리 나라에서 장애아동과 가족을 위한 지원의 근거가 되는 법률들이 무엇이 있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장애아동 및 가족 관련 지원법 더 읽기"

뇌성시각장애 아동을 위한 그림책 만들기

글 & 사진 : 신호영

뇌성시각장애 아동들은 일반적인 그림책의 그림이 너무 많고 혼란스러울 수 있습니다. 선명하고 단순한 형태의 그림을 검정 배경 위에 제시했을 때 아동들은 그림을 인식하고 책의 이야기를 이해할 수 있습니다. 뇌성시각장애 아이들이 불빛에 관심이 있기 때문에 어두운 공간에서 그림책에 빛을 비추면서 그림을 보여줄 수도 있습니다. 아동들이 좋아할 만한 책을 고르고 그림책을 직접 만드는 과정을 통해 부모님도 새로운 즐거움을 느낄 수 있습니다. 뇌성시각장애 아동들을 위한 그림책을 만들 때 고려해야 할 점을 소개합니다.

1. 그림책 선정

그림이 하나만 있거나 단순한 그림책으로 보여주는 게 좋습니다. 간단해서 집중하기 쉽기 때문입니다. ‘사과가 쿵, 달님 안녕, 손이 나왔네, 깜깜해 깜깜해, 아빠한테 찰딱’ 과 같은 영아용 그림책이나 낱말을 소개하는 그림책도 좋습니다.

2. 그림책 읽어주기

그림책에서 그림을 먼저 보여주고 그 다음에 읽어주는 게 좋습니다. 내용을 다 읽어 주지 말고 중요한 말만 줄여서 읽어주세요. 책의 모든 장면을 보여주지 말고 변화가 잘 보이는 중요한 사건 몇 개만 추려도 됩니다. 예를 들면 ‘사과가 쿵!’에서 사과 나오는 장면을 보여주고 중간 장면을 생략하고 동물들이 사과를 다 먹은 장면을 보여주어도 좋습니다.

3. 그림책 배경 선정

그림이 잘 보이도록 검정 흑지노트나 탁상달력을 활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탁상달력에 검은 종이를 붙여 사용하세요. 열었다 닫았다 할 수 있는 ‘오픈형 스프링’은 종이를 넣고 빼기 편리합니다.

4. 그림 꾸미기

만들고자 하는 그림책을 컬러복사한 뒤 그림 형태를 따라서 자르고, 그림 위에 형광펜으로 칠하거나 반짝이는 재료를 붙여서 잘 보이게 합니다. 빨간색, 노란색, 형광색 같이 잘 보이는 색깔로 꾸미면 좋고 반짝이 털실, 포장지, 천, 모루, 자전거 반사휠 스티커, 반짝이는 초콜렛 껍질 등으로 형태를 채우거나 테두리를 꾸며주어도 좋습니다.

5. 불빛과 함께 보여주기

불빛이나 움직임이 있어야 더 잘 볼 수 있는 단계의 아이들은 책 뒤에 LED 전구를 붙이고 그림을 볼 때 마다 불빛에 비추어 그림이 보이게 하면 좋습니다. 색깔이 다른 전등을 두 개 붙이고 앞뒤로 번갈아 가며 불빛 색을 달리 해서 보여주어도 됩니다.
특정 부분을 보여주고 싶거나 강조하고 싶은 것이 있을 때도 불빛이 있는 테두리를 올려서 보여주세요.

6. 책 손잡이 만들기 & 그림 덮개 만들기

책장을 넘길 때 책의 가장자리에 논슬립 매트를 붙이면 아이가 쉽게 잡고 넘길 수 있습니다. 또는 아이가 잡기 쉬운 크기로 튀어 나온 손잡이를 만들어도 됩니다. 그리고 창문 형식으로 덮개를 만들어서 그림 여러 개 중에 한 개씩만 보여줄 수도 있습니다. 그림책의 그림이 여러개 일 때 한꺼번에 다 보여주지 않고 한 개씩 강조해서 보여줄 때 좋습니다.

뇌성시각장애 아동을 위한 그림책 만들기 더 읽기"

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