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ta-synthesis of qualitative studies: Inclusion in the early childhood years

영유아 통합교육은 장애 유무와 관계없이 모든 아동이 함께 교육받을 수 있도록 하는 핵심적인 접근이며, 이로 인한 긍정적 결과는 여러 연구를 통해 보고되어 왔다. 그러나 실제로 어떤 경험과 요소들이 이러한 긍정적 결과를 이끌어내는지에 대한 질적 이해는 부족했다.

본 연구는 이러한 간극을 메우고자 하며, 통합교육이 아동들의 사회적·학습적 성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보다 깊이 있는 통찰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는 고품질 통합교육의 실현과 확대를 위한 실천적·정책적 방향 제시에 매우 중요하다.

연구 설계: thematic synthesis 방식의 질적 메타연구

1. 문헌 선정 및 포함 기준

🔹PRISMA 가이드라인에 따라 문헌 검색 및 선별
🔹미국 내 질적 연구, 0~8세 장애 아동 포함 등 포함 기준 명시
🔹최종 8편의 연구 포함

2. 자료 분석 절차

🔹의미 단위 중심의 코딩
🔹a priori 코드 및 귀납적 분석 병행
🔹Dedoose 프로그램 사용
🔹삼각검증, 상호검토, 리플렉시비티 반영

3. 분석 대상 연구 특성

🔹대상 아동의 장애유형, 연령 등 요약
🔹연구 참여자(부모, 또래, 교사 등)의 구성
🔹데이터 수집 방법(관찰, 인터뷰, 문서분석) 및 분석 접근 요약

주요 결과

🔹접근과 참여를 통한 발달:
장애 아동은 일반 유아교육 환경에서 또래와 함께 다양한 활동에 참여함으로써 사회적·학문적 발달 기회를 얻었으며, 교사들은 이를 위해 개별화된 지원을 제공함.

🔹사회적 관계 형성과 긍정적 인식:
시간이 지남에 따라 장애 아동과 비장애 또래 사이에 진정성 있는 우정이 형성되었고, 또래는 장애를 이해하고 존중하는 태도를 보임. 교사는 ‘버디 시스템’ 등 다양한 전략으로 상호작용을 촉진함.

🔹상호작용에서의 자율성:
아동 스스로 언제, 어떻게, 누구와 상호작용할지 선택하며 점점 더 상호작용의 주도권을 가짐. 장애 아동의 성향이나 행동이 또래의 반응에 영향을 미치며, 상호작용 양상이 다양하게 나타남.

논의

🔹통합 환경에서의 접근성과 참여 보장이 핵심이며, 이는 사회적 상호작용 기회를 늘리고 우정과 발달의 기반이 됨.

🔹장애 아동의 사회적 기술 발달은 또래와의 긍정적 상호작용을 예측하는 중요한 요인으로, 조기 사회기술 개입이 필요함.

🔹교사와 또래가 함께 만든 상호작용 기회는 장애 아동의 자율성과 소속감을 높이며, 이는 통합교육의 궁극적인 가치임.

🔹연구에 참여한 교사들은 통합교육에 대해 긍정적 태도를 보였으며, 이는 교사의 신념과 전문성 개발이 통합 실천에 중요한 변수임을 시사함.

조기개입에 대한 시사점

🔹통합 환경에서의 초기 경험은 아동의 사회성 및 학습경험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므로, 조기개입 시 통합교육의 기회를 적극적으로 확보해야 함.

🔹사회기술 중심의 조기개입 목표 설정이 필요하며, 개별 아동의 사회적 상호작용 양상에 따른 접근법이 요구됨.

🔹가정과 교육기관 간 협력 강화가 중요하며, 부모 역시 아동의 통합 참여와 상호작용을 지지할 수 있도록 코칭과 정보 제공이 필요함.

🔹교사 연수 및 지속적 전문성 개발을 통해 포용적 관점과 실제 전략을 강화할 필요가 있음.

🔹유아기 동안 또래 간 우정 형성과 상호 존중의 기회를 확대함으로써 장애에 대한 사회적 태도 개선의 기반을 마련할 수 있음.

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