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관련 정보

다운증후군

Down's Syndrome

일반적으로 아기는 46개의 염색체를 가지고 태어납니다. 다운 증후군이 있는 아기는 이러한 염색체 중 하나인 21번 염색체를 추가로 하나 더 가지고 있습니다. 이 때문에 다운증후군을 '21번 삼염색체성'이라고도 합니다. 이 추가된 염색체로 인해 아기의 신체와 뇌가 발달하는 방식을 변화시킵니다. 다운 증후군을 가진 사람들은 다양한 능력을 가지고 있지만, 일반적으로 경미하거나 중간 정도에서 낮은 범위의 지적 능력을 가지고 있으며 다른 아동들보다 언어를 배우는 속도가 느립니다.

신체적 특징

다운 증후군을 가진 사람들이 보이는 몇 가지 공통된 신체적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얼굴이 납작한 편이며 특히 콧대가 낮습니다. 눈이 비스듬히 올라간 아몬드 모양이며, 혀가 큰 편으로 입을 벌리고 있거나 혀를 내밀고 있는 경우도 종종 있습니다. 그밖에 목이 짧고, 또래에 비해 키가 작은 편이며, 근육긴장도가 낮고 관절이 유연합니다.
다운 증후군이 여분의 염색체로 인해 발생한다는 것을 알고 있지만 다운 증후군이 발생하는 이유 또는 얼마나 많은 다른 요인이 역할을 하는지는 아무도 모릅니다. 왜 여분의 염색체가 생기는지에 대한 이유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으며, 현재 알려진 바로는 다운 증후군이 있는 아기를 낳을 위험을 증가시키는 한 가지 요인은 산모의 나이이지만 이것이 유일한 이유는 아닙니다.
다운증후군이 있는 사람들의 일부는 귀의 감염이나 청력 문제, 안과적 문제, 심장 질환 등의 건강 문제를 가지고 있을 수도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해 정기적으로 점검할 필요가 있습니다.
다운증후군 자체는 치료할 수 없지만, 생애 초기의 적절한 조기개입 서비스는 다운 증후군이 있는 아기와 어린이의 신체적, 지적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됩니다. 유아기와 학령기 이후에는 정규 수업에 참여하면서 특수교육과 관련서비스를 통해 아동에게 적절한 추가적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사진 출처 : CDC
본 내용은 미국 CDC의 자료 일부를 참조하여 작성하였습니다.

다운증후군 더 읽기"

뇌성마비

Cerebral Palsy

뇌성 마비(Cerebral Palsy)는 비정상적인 뇌발달이나 근육조절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발달 중인 뇌의 손상으로 인해 발생하며, 균형과 자세를 유지하고 움직일 수 있는 능력에 영향을 미칩니다.

영아가 뇌성마비일 가능성은 움직임과 운동발달 이정표(뒤집기, 앉기, 서기 또는 걷기)에 적절한 때에 도달하는지를 통해 알 수 있습니다.

생후 6개월 미만 아기의 경우

  • 아기가 등을 대고 누워 있는 동안 아기를 들어올리면 머리가 따라 올라오지 않습니다. 
  • 팔다리가 뻣뻣한 느낌이 듭니다. 
  • 아기를 안고 있을 때 아기가 등과 목을 과도하게 펴고 안아주는 사람을 밀쳐내는 듯한 행동을 합니다. 
  • 아기의 몸통을 자고 세울 때 다리가 뻣뻣하고 가위 모양으로 교차되기도 합니다.

생후 6개월 이상 아기의 경우

  • 생후 6개월 이상이 되면 배밀이나 굴러서 이동할 수 있는데, 어느 방향으로도 이동을 하지 않는다면 운동발달의 문제를 의심해볼 수 있습니다. 
  • 양손을 몸 가운데 모아서 마주잡고 있기 어렵습니다. 
  • 손을 입으로 가져가기 어렵습니다. 
  • 양 손을 골고루 사용하지 못하고 한 손만 내밀고 다른 한 손을 주먹을 쥐고 있습니다.

생후 10개월 이상 아기의 경우

  • 양 손과 다리를 교차로 움직이면서 네발기기를 할 수 있는 시기입니다. 만약 한쪽 손과 다리로 밀고 반대쪽 손과 다리를 끌면서 기어간다면 운동발달의 문제를 의심해볼 수 있습니다.
  • 네발기기를 하지 않고 앉은 자세에서 엉덩이로 밀어 움직이거나 무릎을 꿇은 자세로 뜀뛰듯이 이동하기도 합니다.
뇌성마비가 없는 어린이 중 일부도 이러한 운동발달 양상을 보일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뇌성마비를 의심해볼 수 있으니, 이러한 징후들이 있다면 재활의학과에서 검진을 받아볼 필요가 있습니다.
뇌성마비는 주로 출생 과정에서 산소 부족으로 인해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지만, 이것은 뇌성마비 중 소수에 해당하는 원인으로 많은 경우 구체적인 원인을 알기 어렵습니다. 대부분은 출생전이나 출생 중에 발생하며, 출생후에는 뇌수막염과 같은 감염이나 머리 부위의 손상으로 인해 발생합니다.
사진 출처 : CDC
본 내용은 미국 CDC의 자료 일부를 참조하여 작성하였습니다.

뇌성마비 더 읽기"

소두증

Microcephaly

소두증은 아기의 머리가 예상보다 훨씬 작은 상태입니다. 임신 중에는 아기의 두뇌가 자라면서 아기의 머리도 자랍니다. 소두증은 아기의 뇌가 임신 중에 제대로 발달하지 못하거나 출생 후 성장이 멈추어 머리 크기가 작아지기 때문에 발생할 수 있습니다. 소두증은 다른 주요 선천적 결함에 없더라도 발생할 수 있고, 다른 선천적 결함과 함께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소두증의 원인

소두증의 원인은 대부분 알려져 있지 않습니다. 일부는 유전자의 변화로 인해 소두증이 있습니다. 일부는 임신 중 다음과 같은 위험요소에 노출되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 풍진,톡소플라스마증 또는 거대세포 바이러스와 같은 임신 중 특정 감염
  • 심각한 영양실조(영양소 부족 또는 충분한 음식 섭취 부족)
  • 알코올, 특정 약물 또는 독성 화학 물질과 같은 유해 물질에 노출
  • 발달 중 아기의 뇌에 혈액 공급 중단
  • 산모의 지카 바이러스 감염
출생후 신생아의 머리 둘레를 측정하여 소두증을 진단합니다. 머리둘레가 같은 나이의 아기보다 특정 수치 이상 작을 때 소두증을 의심할 수 있으며, 소두증이 의심되는 경우 자기공명영상 촬영과 같은 특수검사를 통해 확인하고 진단을 내립니다.

소두증이 가지는 문제

소두증이 있는 아기는 소두증의 정도에 따라 다음과 같은 다양한 다른 문제를 가질 수 있습니다.
  • 발작
  • 언어 문제 또는 기타 발달 이정표(예: 앉기, 서기 및 걷기)와 같은 발달 지연
  • 지적 장애(일상 생활에서 학습 및 기능 감소)
  • 움직임과 균형 문제
  • 삼키기 어려움과 같은 수유 문제
  • 청력 상실
  • 시력 문제
소두증은 평생 지속되며, 소두증에 대한 치료법은 없습니다. 경미한 소두증이 있는 아기는 별다른 문제를 경험하지 않습니다. 중증 소두증이 있는 아기는 가벼운 소두증을 가진 아기보다 더 다양한 문제를 겪거나 더 심한 어려움을 겪을 수 있습니다. 소두증으로 인해 아기가 어떤 문제를 겪을지 예측하기 어렵기 때문에 소두증이 있는 아기는 종종 의사와 정기적인 검진을 통해 성장과 발달을 모니터링하는 면밀한 추적 관찰이 필요합니다. 건강 문제와 더불어 신체적, 지척 능력을 향상시키고 최대화하기 위하여 조기개입 서비스가 도움이 됩니다.
사진 출처 : CDC
본 내용은 미국 CDC의 자료 일부를 참조하여 작성하였습니다.

소두증 더 읽기"

뉴스레터로 협회 소식과 정보를 빠르게 받아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