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exploration of reflective conversations in early intervention caregiver coaching sessions

조기개입(EI)에서 코칭은 보호자의 역량 강화를 위한 핵심 전략이다.

그 중에서도 '성찰(reflection)'은 개입의 질을 높이는 요소로 간주되지만, 실제 현장에서의 실행 방식은 잘 알려져 있지 않다. 기존 연구는 대부분 아동의 발달 성과나 코칭 충실도에 초점을 맞추었기 때문에, 성찰이 코칭 대화 속에서 어떻게 나타나는지에 대한 실증적 분석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보호자와 제공자 간의 성찰적 대화를 질적으로 분석하여, 효과적인 코칭 실행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

1. 참가자

제공자–보호자 31쌍(dyads)
-EPIC 그룹: 18쌍 (Embedded Practices with Intervention and Caregivers, 보호자 참여형 일과기반 중재)
-BAU 그룹: 13쌍 (Business-As-Usual, 통상적인 서비스)

아동: 생후 24개월 미만의 발달장애 아동, IFSP 작성됨
제공자: 최소 2년 경력, 가족 중심 개입 경험, 사전 코칭 훈련 이수

2. 개입 및 절차

EPIC 그룹: FGRBI 기반의 SOOPR 프레임워크 + 5Q 질문 전략을 포함한 전문성 개발(PD) 이수
BAU 그룹: 기존 코칭 실천 유지
각 다이어드는 3회(초기, 중간, 종료) 가정방문 세션 영상 녹화 → 총 93개의 전사본 확보

3. 측정 및 분석

대화 전사본을 **‘성찰 유형(객관적, 해석적, 비판적)’, ‘질문 유형’, ‘자발성’, ‘화제(5Q 관련 vs 기타)’**로 코딩
반영적 발화율, 질문 수, 화제 유형 등 정량 분석 실시

주요 결과 요약

논의

반영적 대화는 코칭의 핵심이지만, 실제 실천에서는 제공자의 주도로만 이루어지고 보호자의 능동적 참여가 제한적임.
성찰 대화를 통해 보호자는 자신의 개입 전략을 되돌아보고 일반화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질 수 있음.
EPIC 모델은 성찰을 구조화된 틀(SOOPR, 5Q) 속에서 체계적으로 포함함으로써 반영 대화의 질과 범위를 향상시킴.

조기개입에 대한 시사

●성찰은 단순한 ‘회상’이 아닌, 보호자의 학습과 역량 구축을 위한 핵심 전략임.
●제공자는 성찰을 유도하는 질문 기술과 언어 사용 능력을 지속적으로 개발해야 함.
●보호자가 자신의 행동과 전략을 평가하고 개선하는 메타인지 기회를 갖게 하는 것이야말로 지속 가능한 조기개입의 핵심임.
●향후 훈련에서는 단순 기술 전수가 아닌, ‘성찰 중심 코칭 대화’를 중심으로 한 실습 기반 훈련이 포함되어야 함.

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