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육정보
의료 및 재활
영아의 언어 발달 촉진을 위한 전략
작성자
kici01
작성일
2020-04-24 14:49
조회
397
다음 내용은 말(언어)이전 단계 아동의 의사소통발달과 초기언어사용을 촉진할 수 있는 조언들을 정리한 것입니다.

1. 아이의 말/ 소리 따라 하기
-옹아리 소리를 반복 후 비슷한 소리의 말을 해 주기
: 자신의 소리와 다른 사람의 소리를 비교할 수 있는 기회제공과 자신이 쉽게 낼 수 있는 소리를 이용한 새로운 소리를 내는 것을 도와줌
2. 아동이 원하는 것을 요구하게 만들기 (기다리기)
-원하는 물건을 아동의 손이 닿지 않는 데 두기
-신발 한쪽 신기고 기다리기
-장난감의 중요한 부분 빼놓기
-두 개중 하나 선택하게 하기
3. 아동의 제스츄어에 반응을 바로하지 않기
-아동이 물건을 가르킬 때, 소리낼 때까지 못 이해한 척하기
- 물건의 이름을 말해주고 기다려서, 아동이 제스츄어와 소리/말을 같이 하게 유도하기
4. 의성어/의태어를 통해서 반복된 자음모음의 조합을 말하고 즐기게 하기
:어떤 반복된 소리 경우는 한번 자음모음의 조합을 이룬 소리보다 2번 반복된 조합을 이룬 경우 흥미를 느끼고 따라함. 예를 들어, “부릉” 보다 “부릉부릉”을 더 쉽게 (똑같은 소리로 따라하지 않더라도, 비슷한 길이의 소리나 억양을 먼저) 따라함
-“또또”, “어흥”, “음메 음메”, “얌얌”, "빠빠", "까까"등
5. 이름 (명사, 동사)을 말하고(긴 문장이 아님) 충분히 기다려서 아동이 반응할 시간 주기.
-느리고, 분명하고, 간단하고, 높낮이가 있게
6. 짤고 같은 소리나 말이 반복되는 노래를 불러주기. 익숙해진 후에는 아이가 좋아하는 소리나 말이 나오는 부분에서 멈추고 아이가 소리를 내게 하기
7. 책읽어 주기
- 색이 선명하고, 간단한 그림이 있는 책 선택
- 전체를 읽기 보다는 간단하게 스토리를 만들어 읽어 줌
- 재미있는 소리나 환경소리, 짧은 문장을 사용함
- 반복적인 문장이나 소리/말을 사용하여 아동이 예상하거나 따라하기 쉽게 함.
- 책장 넘기기, 그림 집기 시킴 (tapping, pointing)
8. 혼자말 하기
- 부모나 치료사/교사가 하는 행동을 간단하게 말해 줌.
(예, 아빠가 아이 옆에서 설거지 할 때. “물 틀어. 차거워, 그릇, 씻어.”)
9. 행동을 말로 설명하기
-아동이 하는 행동, 보고 있는 것 등을 간단한 말로 설명하기
(예, “문 밀어”, “똑 똑”해요.)
10. 강화하기
-아동이 말하려는 시도에 바로 반응하기
(예, 아동이 “우” 소리 내며 손을 내밀었을 때, “줘” 라고 하면서 바로 원하는 물건 주기)
11. 확장된 모델링 하기
-아동의 소리에 1, 2 단어를 더 연결하여 말해주기
(예, “또"라고 말을 잘 하기 시작하면, ”또 줘“라고 말을 연결해 주기
12. 질문에 답하는 것 가르치기
- 간단한 질문 후에 답을 같이 말해주기
(예, “뭐 줄까?” 묻고 나서 아동의 반응을 기다리고, 아동이 반응을 안하면, “뭐 줄까?, 우유.” 라고 말해 줌)
최진희(한국영아발달조기개입협회 회장)

1. 아이의 말/ 소리 따라 하기
-옹아리 소리를 반복 후 비슷한 소리의 말을 해 주기
: 자신의 소리와 다른 사람의 소리를 비교할 수 있는 기회제공과 자신이 쉽게 낼 수 있는 소리를 이용한 새로운 소리를 내는 것을 도와줌
2. 아동이 원하는 것을 요구하게 만들기 (기다리기)
-원하는 물건을 아동의 손이 닿지 않는 데 두기
-신발 한쪽 신기고 기다리기
-장난감의 중요한 부분 빼놓기
-두 개중 하나 선택하게 하기
3. 아동의 제스츄어에 반응을 바로하지 않기
-아동이 물건을 가르킬 때, 소리낼 때까지 못 이해한 척하기
- 물건의 이름을 말해주고 기다려서, 아동이 제스츄어와 소리/말을 같이 하게 유도하기
4. 의성어/의태어를 통해서 반복된 자음모음의 조합을 말하고 즐기게 하기
:어떤 반복된 소리 경우는 한번 자음모음의 조합을 이룬 소리보다 2번 반복된 조합을 이룬 경우 흥미를 느끼고 따라함. 예를 들어, “부릉” 보다 “부릉부릉”을 더 쉽게 (똑같은 소리로 따라하지 않더라도, 비슷한 길이의 소리나 억양을 먼저) 따라함
-“또또”, “어흥”, “음메 음메”, “얌얌”, "빠빠", "까까"등
5. 이름 (명사, 동사)을 말하고(긴 문장이 아님) 충분히 기다려서 아동이 반응할 시간 주기.
-느리고, 분명하고, 간단하고, 높낮이가 있게
6. 짤고 같은 소리나 말이 반복되는 노래를 불러주기. 익숙해진 후에는 아이가 좋아하는 소리나 말이 나오는 부분에서 멈추고 아이가 소리를 내게 하기
7. 책읽어 주기
- 색이 선명하고, 간단한 그림이 있는 책 선택
- 전체를 읽기 보다는 간단하게 스토리를 만들어 읽어 줌
- 재미있는 소리나 환경소리, 짧은 문장을 사용함
- 반복적인 문장이나 소리/말을 사용하여 아동이 예상하거나 따라하기 쉽게 함.
- 책장 넘기기, 그림 집기 시킴 (tapping, pointing)
8. 혼자말 하기
- 부모나 치료사/교사가 하는 행동을 간단하게 말해 줌.
(예, 아빠가 아이 옆에서 설거지 할 때. “물 틀어. 차거워, 그릇, 씻어.”)
9. 행동을 말로 설명하기
-아동이 하는 행동, 보고 있는 것 등을 간단한 말로 설명하기
(예, “문 밀어”, “똑 똑”해요.)
10. 강화하기
-아동이 말하려는 시도에 바로 반응하기
(예, 아동이 “우” 소리 내며 손을 내밀었을 때, “줘” 라고 하면서 바로 원하는 물건 주기)
11. 확장된 모델링 하기
-아동의 소리에 1, 2 단어를 더 연결하여 말해주기
(예, “또"라고 말을 잘 하기 시작하면, ”또 줘“라고 말을 연결해 주기
12. 질문에 답하는 것 가르치기
- 간단한 질문 후에 답을 같이 말해주기
(예, “뭐 줄까?” 묻고 나서 아동의 반응을 기다리고, 아동이 반응을 안하면, “뭐 줄까?, 우유.” 라고 말해 줌)
최진희(한국영아발달조기개입협회 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