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업안내
가족중심 조기개입 시스템 특성

지역 연계서비스 체계
– 의료기관(병원, 보건소), 지자체(구청, 동주민센터), 보육기관과의 연계
– 상호 의뢰 (진료, 조기개입, 어린이집 서비스)
– 협업 (모니터링, 사례관리, 교육, 등)
– 지자체 : 조기발견을 위한 홍보∙의뢰 및 정보∙제도 지원

원스톱 서비스
– 종합적 일원화된 시스템 : 접수부터 서비스제공 후 지역사회 프로그램으로 전이지원까지
– 동일한 서비스팀이 모든 과정을 시행
– 평가 후 대기하지 않고 바로 서비스 제공
– 개별화가족서비스계획을 부모의 동의하에 의뢰기관 및 관련 의료기관, 어린이집 등과 공유하고 모니터링 회의 진행

효율적 서비스
– 주서비스제공자 모델 사용 : 조기개입팀(특수교사, 물리치료사, 작업치료사, 언어치료사) 의 지원을 받아 아동에게 가장 필요한 영역의 서비스제공자가 전반적인 발달 지원 (초영역팀 접근; Transdisciplinary Team Approach)
– 일관성 있고 효율적 치료 ∙ 교육 ∙ 가족지원
– 서비스코디네이터 : 사회복지사의 가족지원과 서비스 모니터링
찾아가는 서비스
– 가정 방문(어린이집)을 하여 일상생활안에서 영아발달 촉진
– 가족에 맞춘 서비스 : 영아와 가족이 가장 편한 환경에서 지원
– 부모코칭으로 가족역량 강화 : 치료사나 특수교사가 없는 상황에서도 가족이 영아의 발달촉진
해외 조기개입시스템
미국·스웨덴·호주·대만·세계보건기구 추천사항
미국 | 스웨덴 | 호주 | 대만 | |
정부제도 | 모든 장애인 교육법 영아조기개입 Individuals with Disability Education Act, Part C |
사회서비스법 Social Welfare Act |
국가장애 보험제도법 National Disability Insurance Scheme Act |
아동복지법 Child Welfare Law |
실행기관 | 조기개입 기관 Early Intervention System |
장애아동가활센터 Child Habilitation Center |
영유아조기개입 Early Childhood Early Intervention |
조기개입센터 Early intervention center |
다영역팀 서비스 | ![]() |
![]() |
![]() |
![]() |
개별화가족지원계획 | ![]() |
![]() |
![]() |
![]() |
방문서비스 | ![]() |
![]() |
![]() |
![]() |
가족 코칭 | ![]() |
![]() |
![]() |
![]() |
가족지원 | ![]() |
![]() |
![]() |
![]() |
유관기관 연계 | ![]() |
![]() |
![]() |
![]() |
* 오른쪽으로 스크롤 하세요
세계보건기구(WHO, 2012년) 조기개입 개선을 위한 추천안 |
1. 결함모델 (장애초점)에서 역량강화 (환경에 적응하면서 발달할 수 있는 능력 강화)모델로 변화 2. 아동중심에서 가족중심 모델로 변화 3. 분절된 서비스에서 종합적 원스톱 모델로 변화 4. 초영역적 팀 모델 |
세계보건기구(WHO, 2012년) 조기개입 개선을 위한 추천안 |
1. 결함모델 (장애초점)에서 역량강화 (환경에 적응하면서 발달할 수 있는 능력 강화)모델로 변화 2. 아동중심에서 가족중심 모델로 변화 3. 분절된 서비스에서 종합적 원스톱 모델로 변화 4. 초영역적 팀 모델 |